포토 에세이/photo essay

노점의 역사는 민중에 삶의 역사다.

전상규 2021. 1. 9. 20:41

노점의 역사는 민중에 삶의 역사다.
'자리'라는 의미의 지역적 의미는 자본으로부터 내가 활당을 받은 몫이다. 원주인의 몫이 명확하지 못한 시대에는 임금의 땅이었고, 일부 주요 요충지는 관리자, 영주의 땅이었다. 자본주의에서는 당연 화폐의 불합리한 제도의 영역 안에 들어간 자본주의 몫이었다.
한없이 밀려난 사람들은 그 땅에 빌붙어 삶을 영위해왔고 대자연의 공공재가 그 누구의 몫으로 변하여 자본의 손에 들어간 영역까지 내 몫 한 줌 차지하지 못하는 시대를 그때도 지금도 살고 있다.

 

명확하지 않은 선을 구분하여 소유를 규정하고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이상한 법으로 합법이 되고 그 선을 넘으면 불법이 되는 세상은 그 어느 시대를 막논하고 깨지지 않은 강철 규정으로 여겨져 권리 행사를 하고 있다. 그 속에 민중의 항상 논외 규정이다. 특히, 단속이라는 규정은 그 억압된 규정 안에서 불안하다.

 

노점을 지방단체에 신고를 하는 사람의 논리는 항상 '정당성'이다. 나는 정당하게 세금을 내고 권리행사, 장사를 하는데 노점은 그 의무를 다 하지 않으며 '부당이익'을 누리는 사회의 불법적인 존재다.

 

하루 여기서 장사를 하는데 그만큼의 세금을 내고 하겠다는데 의견은 묵살하고 내 점포가 없다는 하나의 규정으로 '불법집행'대상으로만 여긴다. 내가 세금을 내고 하라면 여기서 얼마든지 세금을 내고 하고 싶다. 전포 하나 없다고 불법을 규정하는것 자체가 낙인이다.

 

사회가 법치라는 틀 안에서 질서를 유지하고자 만들어 놓은 논리는 딱 그만큼이다. 불법과 유예의 그 간격... 시장, 마켓은 이미 탈 정책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시대는 그것을 규정하고 법규 안에 넣으려고 한다. 갈등을 빌미로 단속이라는 손쉬운 행동으로 마무리를 지려는 논리... 분노는 거기에서 출발한다. 생존이라는 삶과 규정 안에서 누리는 또 다른 생존의 삶.

 

상생이라는 극복점에서 우리는 타협의 해결책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을 수는 없는 것인가? 그 공간을 합리적으로 서로 인정하며 또 다른 문화를 접목할 수는 없는 것인가? 이윤의 목적이 아닌 분배의 공익적 목적을 우리는 생각할 수 없는 것인가?

 

이 어려운 시대에 살아내기 위해 '자리'에 연연하며 민중끼리 갈등을 야기하는 현상을 오랜 시간 두고 보는 입장에서 많은 질문을 던지는 요즘이다. 지금은 그 시간마저 주어지지 않으니까 말이다. 찐득하게 굳은 선을 끊을 수 없다.

 

'자리'는 정해져 있지 않았고, 그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의 것이었다.